
고양이의 스크래칭 습관, 긁어도 되는 환경을 만들어주자
고양이를 키우는 집사라면 누구나 겪는 단골 고민 중 하나가 “이 녀석이 자꾸 가구나 벽지를 긁어서 난장판이 돼요!” 하는 문제 아닐까? 하룻밤 자고 일어나면 소파 한쪽이 해체되고(?), 벽지 모서리가 해적선 마냥 뜯기고, 심지어 푹신한 침구나 매트리스까지 구멍이 날 때도 있지.
그런데 사실 이건 고양이가 “집안을 망치겠다!”라고 결심해서 하는 게 아니라, 본능적인 스크래칭 충동을 해소하려다 보니 벌어지는 일이라는 게 함정이야.
오늘은 왜 고양이가 스크래칭(긁기)을 하는지, 그리고 어떻게 하면 합법적으로(?) 긁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지, 간단히 정리해볼게.
이걸 알고 나면 가구 파손 스트레스로부터 좀 벗어날지도 몰라!

1. 고양이가 스크래칭을 하는 이유
- 발톱 관리
고양이는 발톱을 계속 사용하다 보면 그 겉껍질이 자라나고 오래된 표면을 벗겨내야 해. 스크래칭을 통해 죽은 발톱 껍질을 제거하고 건강한 발톱을 유지하지. - 영역 표시
고양이가 긁는 행위는 표면에 남는 발톱 자국과 냄새(발 패드에서 나는 페로몬)를 통해 “여긴 내 구역이야”라는 메시지를 남기는 작업이야.
특히 집 안에 다른 반려동물이 있거나, 새로운 환경에 놓였을 때 스크래칭이 더 심해질 수도 있어. - 스트레스 해소·운동
긁으면서 몸을 쭉 뻗고, 근육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어. 우리로 치면 스트레칭처럼 몸을 시원하게 풀어주는 느낌이랄까.
그래서 기지개를 켜듯이 벽이나 스크래처를 세워놓고 긁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어.
2. 스크래치 막으려다 싸우지 말자, 해결책은 ‘긁어도 되는 공간’
가장 안 좋은 방식이 “야! 하지 마!”라고 고양이가 긁을 때마다 억지로 말리는 거야.
고양이 입장에선 이건 너무나 당연한 본능 행동인데, 집사가 화내면 스트레스만 커지고 몰래 더 긁어댈 수도 있어.
진짜 해결책은 “여긴 마음껏 긁어도 좋아!” 하는 안전한 장소, 즉 스크래처나 장비를 마련해주고, 거기로 유도하는 거야.
3. 스크래처 종류와 선택 요령
A. 수직형, 수평형, 각도형 스크래처
- 수직형
- 나무 기둥이나 길쭉한 기둥 형태로 서 있는 스크래처. 고양이가 뒷다리로 서서 상체를 쭉 뻗어 긁을 수 있어.
- 벽이나 기둥에 고정할 수 있는 것도 있는데, 장모종·대형묘가 힘껏 긁어도 흔들리지 않도록 충분히 튼튼한 제품을 골라야 한다.
- 수평형
- 바닥에 놓고 고양이가 위에서 꾹꾹이 하듯 긁는 형태.
- 박스 골판지가 가장 흔히 쓰이는 소재인데, 가루가 많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깔끔하게 관리해줄 필요가 있어.
- 어떤 냥이는 바닥에 있는 걸 더 선호하기도 해서, 사실 여러 타입을 두고 선호도를 지켜보는 게 좋다.
- 각도형
- 수평과 수직의 중간 느낌으로, 사선 형태로 세워놓는 스크래처.
- 고양이가 자신에게 맞는 각도를 찾기 좋아한다면, 이 스타일이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.
B. 소재와 안정성
- 골판지 스크래처: 가성비 좋고, 고양이들이 좋아하는 편. 단, 가루가 잘 떨어지고 쉽게 닳기도 함.
- 마 소재(사이잘 로프), 카펫 재질: 좀 더 튼튼하며, 오래 쓸 수 있다. 캣타워 기둥에 감겨 있는 사이잘 로프가 대표적.
- 무게·고정: 긁다가 쓰러지거나 흔들리면 고양이가 “에이, 불안해” 하고 안 쓸 수 있다. 밑판이 넓거나 벽에 고정할 수 있는 걸 고려하는 게 좋아.
4. “가구 대신 스크래처를 긁게 하려면?” 훈련 팁
A. 기존 가구·벽지에 스크래칭하던 곳에 스크래처 배치
고양이가 자주 긁는 그 지점에 스크래처를 놓아보자.
고양이는 이미 그 위치를 자기 영역 표시 장소로 생각하니까, 비슷한 장소에 긁어도 되는 대체물을 두면 “음? 그래도 여기서 긁는 맛이 괜찮네?” 하고 스무스하게 넘어갈 수 있다.
B. 유혹하기: 캣닢, 마따따비 사용
스크래처 표면에 캣닢 가루를 살짝 뿌리거나, 마따따비 스프레이를 뿌리면 호기심이 폭발!
고양이가 냄새를 맡고 스크래처에 다가가면 칭찬해주고, 손으로 살짝 긁어 시범을 보이기(!)도 한다면 금세 흥미가 생길 수 있다.
C. 긁으면 칭찬, 다른 곳 긁으면 무시
- 고양이가 스크래처를 긁는 걸 발견하면 바로 “잘했어!” 하고 쓰다듬거나 간식을 주자.
- 반면, 가구를 긁으려 하면 “안 돼” 하고 시선을 끈 뒤, 스크래처 위치로 살짝 유도한다(간식을 들고 거기로 가도 좋다).
- 반복하면 “아, 여기서 긁으면 칭찬받고, 저 가구는 하면 안 되는 곳이구나”가 조금씩 각인된다.
5. 가구 보호: 응급 대책과 추가 팁
- 가구 모서리에 보호필름: 투명 필름이나 각종 시트지로 가구, 소파 모서리, 벽 모퉁이 등을 감싸두면 망가짐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어.
- 더블사이드 테이프: 스크래칭이 심한 부분에 양면 테이프를 붙이면 고양이가 발이 끈적해져서 싫어한다.
- 분무기·스프레이 대책?: 옛날엔 스크래칭할 때 물을 뿌려 겁주라는 말도 있었지만, 고양이 스트레스가 커져서 역효과 날 수 있으니 과도한 무리수는 지양하자.
- 적극적으로 “긁어도 되는 곳”을 매력적으로 만든다는 게 본질적 해법이라는 걸 기억하자.
6. 스크래칭 외에 전체 환경 조성의 중요성
고양이는 수직 공간을 선호하므로, 캣타워나 캣워킹 같은 장치를 마련해주면 심리적 안정과 운동량을 얻는다.
그 결과, 스트레스가 줄어들어 다른 문제 행동(과한 스크래칭 포함)이 완화될 수도 있다는 점!
- 캣타워 기둥에 사이잘 로프: 이중 기능으로 스크래처 역할도 한다.
- 벽면 선반(캣워킹) 위에 스크래처를 놓거나, 여러 곳에 수직형 스크래처를 붙여두면 더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.
7. 빗질과 발톱 관리도 잊지 말기
- 장모종 고양이라면 털이 엉키면서 스크래칭이 늘어날 수 있고, 발톱이 과도하게 자라서 가구에 더 큰 손상을 줄 수 있다.
- 정기적으로 발톱을 잘라주면 스크래치로 인한 손상이나 스스로 발톱 문제가 생기는 걸 줄일 수 있다.
- 털 빠짐이나 스트레스도 빗질을 통해 해소할 수 있기에, 스크래칭 습관과 연관 지어 생각하면 좋다.
8. 예민한 아이를 위한 단계적 접근
간혹 스크래처를 새로 사도 전혀 안 쓰는 고양이도 있다.
이럴 땐:
- 스크래처를 갑자기 확 들이대지 말고, 평소 좋아하는 구역에 슬쩍 배치한다.
- 가까이에 캣닢·간식 등 호기심을 유도할 무언가를 두고, 고양이가 자연스럽게 탐색하게 만든다.
- 스크래처 표면을 손으로 살살 긁어보여도 되고, 아예 그 위에 작게 장난감이나 간식을 놓아 신나게 놀아볼 수도 있다.
9. 결론: “긁어야 할 권리를 존중하자, 대신 합법 구역을 마련해주기”
고양이에게 스크래칭은 생존 본능, 영역 표시, 몸 스트레칭 등등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.
이를 완전히 막겠다고 싸우기보단, “내 가구는 살리고 아이도 건강하게 발톱을 갈 수 있는 환경”을 만들어주는 게 핵심이지.
- 적절한 스크래처를 여러 군데 배치해서 “어디든 긁어도 되지만, 가구·벽만 빼고!” 식으로 유도한다.
- 스크래처는 수직·수평·각도형으로 다양하게 시도해보고, 고양이가 잘 쓰는 걸 알아내면 그 제품 or 비슷한 형태로 추가해보자.
- 이미 심하게 가구를 긁고 있다면, 그 지점에 스크래처를 놓아 대체하도록 돕고, 스크래처 이용 시 칭찬·보상을 아끼지 않는다.
- 발톱 관리, 캣타워·캣워킹, 빗질, 전반적인 스트레스 해소도 함께 고려하면 더욱 효과적이다.
그러다 보면 어느 날, 더 이상 “윽, 소파 날아갔네!” 하는 날이 줄어들고, 고양이는 편하게 “내 기둥/박스/매트”에서 스크래칭을 하며 우아하게 몸을 쭉쭉 뻗고 있을 거야.
“넌 거기서 마음껏 긁으렴, 난 내 가구를 지킬게!” 이런 상생 구조가 성립되는 순간, 집사 생활이 좀 더 평화로워진다는 거!

